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7

반응형
거시세계와 미시세계의 구분에서 관측 가능과 불가능에 대해 2022년 개정된 교육과정에 따라 고등학생이 되면 배우는 통합과학 역시 변화가 있는데, 첫 단원의 제일 처음에 자연 세계를 크게 미시 세계와 거시 세계로 구분한다고 나옵니다. 여기서, 단순하게 미시 세계를 아주 작은 물체나 현상을 다루는 것으로, 거시 세계를 큰 물체나 현상을 다루는 것으로 구분하며 관측이 불가능하냐, 가능하냐 역시 하나의 기준으로 기술되어 있는데, 당연히 학생들은 이게 무슨 말인가 의아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으며 미시 세계가 모여서 거시 세계를 이루는 것인데 이 역시 어떤 기준으로 구분이 되는지 의문점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간략하게나마 여기 적어보려고 합니다. 거시 세계가 관측이 가능한 세계라고 설명하는 이유는 뉴턴운동법칙과 같은 고전 역학이 적용이 된다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 2025. 3. 18.
속력이 빨라질수록 질량이 증가하는 이유 인류사를 통틀어 가장 천재가 누구냐 묻는다면 저는 아인슈타인을 꼽는데요, 물리 공부를 하다 보면 특수 상대성 이론을 접하게 되죠. 여기서 시간 팽창 (시간 지연), 길이 수축, 그리고 동시성의 상대성과 더불어 운동하는 물체의 질량 증가에 대해서 배우게 됩니다. 시간과 공간 역시 관찰자에 따라서 다르게 측정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사실 고교 물리학 과정에서 여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배우기는 어렵고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서만 알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적어보려고 합니다. 좀 더 상세하게 쓸 수 있겠지만 아래의 내용만으로도 좀 직관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뉴턴의 운동 법칙, F=ma라는 식을 우선 봅시다. 단순하게 힘이 가해지면 가속도가 생기죠. 자, 그러면 .. 2025. 3. 11.
오존층이 있는 성층권 기온이 높이가 올라갈수록 상승하는 이유 대기가 존재하는 영역인 기권에 대해서 배울 때, 높이에 따른 기온의 변화를 기준으로 층상구조를 나타낸다고 배우는데요, 대류권은 지표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기온이 낮아지는 반면에 성층권에서는 오존층이 있어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높아집니다. 여기서 조금 생각을 해보면, 지역마다 다르지만 성층권의 높이가 대략적으로  11km - 50km 구간이고, 오존층은 대략적으로 20 - 30km 구간에 존재한다고 배우면서, 오존층이 자외선을 흡수한다고 한들 어떻게 성층권 전체에서 높이에 따라 기온이 상승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오존층은 우리가 배우는 대로 20-30km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10-50km에 이르는 성층권 전체에 오존이 분포하고 있으.. 2025. 1. 24.
해수의 염류와 염분 (염분비 일정 법칙) 염류(鹽類, salts)지구계에서 수권은 97.47%의 해수와 2.53%의 담수(談水)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담수와 구별되는 해수의 특성을 하나 꼽자면 짠맛이 난다는 것입니다. 해수에서 짠맛이 나는 이유는 바로 염류 때문인데요, 염의 개념에 대해서 중학교 과학 과정에서는 제대로 배우지 않으므로 단순하게 소금이라고 생각을 하는 학생들도 더러 있습니다만 일단 지구과학에서 기본적으로 염류라는 것은 해수에 녹아 있는 여러 가지 물질이라고 이해를 하면 됩니다. 조금 더 나아가자면 사실 염(salt)이라는 것을 이해하려면 화학에서 배워야 하는데 산과 염기가 만나 생성되는 것이라고 간단하게 알고 넘어가도 되겠습니다. 지각(crust)의 강물이 흘러서 해양으로 유입이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염류라는 것의 기원은 지각의.. 2024. 9. 22.
먼지다듬이 퇴치 약 사용 후기 (비오킬) ※ 포스팅에 등장하는 먼지다듬이 퇴치약에 대한 내용은 직접 제품을 선택 및 구매하여 사용한 후기이며, 유통사 및 제조사로부터 어떠한 대가를 받은 적이 없으며, 해당 제품 또는 제조사와 어떠한 관련도 없음을 밝힙니다. 단순하게 제품을 사용한 후기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어느 날 아내가 저에게 와보라고 부르길래 안방으로 가 보았더니 벽면의 벽지에 아주 작은 곤충들이 기어 다니는 것이 보였습니다. 색깔도 약간은 반투명한 연갈색에 가까웠고 길이가 1mm 내외로 작았기 때문에 눈이 썩 좋지 않은 저는 쉽게 형체를 관찰하기가 어려웠는데, 형태를 살펴보고 검색을 해보니 먼지다듬이라고 불리는 벌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먼지다듬이란먼지다듬이를 흔히들 책벌레라고도 한다더군요.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언뜻 보면 개미.. 2024. 9. 21.
빛의 세기가 광합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 실험 광합성량은 빛의 세기가 셀수록 일정 수준까지 증가를 하게 되는데요, 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우선 시금치나 검정말 등의 식물을 작게 뚫어내어 조각을 만듭니다. 그런 다음에 주사기에 잎조각들을 1% 탄산수소 나트륨 수용액과 함께 주사기에 넣은 다음에 잎 조각이 모두 가라앉을 때까지 피스톤을 당겨서 잎 조각 속의 공기를 빼내야 하는데요, 이는 잎 조각에 공기가 들어 있으면 공기의 부력으로 잎이 떠오르기 때문입니다. 뒤에 나올 실험의 내용이 잎 조각이 떠오르는 시간을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인데, 뒤까지 다 확인해 보면 왜 잎 조각 속의 공기를 빼내야 하는지 쉽게 이해를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탄산수소 나트륨수용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잎 조각의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기 위해서.. 2024. 6. 14.
검정말을 이용한 광합성 산물 녹말 확인 실험 광합성은 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을 반응물(원료)로 양분인 포도당과 산소를 산물(생성물)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아래와 같이 화학반응식으로 나타낼 수가 있죠. 이산화탄소 + 물 + (빛에너지) → 포도당 + 산소 참고로 아래의 내용을 보면 좀 더 이해를 깊게 할 수가 있습니다. 2023.11.10 - [과학] - 광합성 세포호흡 산화환원 산화수로 설명 광합성 세포호흡 산화환원 산화수로 설명광합성과 세포 호흡의 산화와 환원을 산화수로 확인 광합성과 세포호흡은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고,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대표적인 산화 환원 반응 중의 하나입니다. 그리고, 이jcspirit.tistory.com 여기서 광합성의 산물로 포도당이 형성되는데, 포도당은 물에 잘 녹는 수용성 물.. 2024. 6. 13.
에나멜선과 네오디뮴 자석을 이용한 간이 전동기 원리 전류는 자기장을 만들게 되고,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받는 힘을 이용하는 것이 아래와 같은 전동기의 원리입니다. 2023.12.26 - [과학] - 전동기의 작동 원리 전동기의 작동 원리전동기 (Electric Motor) 자기장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전선은 자기력을 받게 되는데요, 이를 이용한 것이 바로 전동기입니다. 조금 자세히 설명하자면, 자석 사이에 있는 코일이 전류가 흐를 때 회jcspirit.tistory.com 이 원리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에나멜선과 네오디뮴 자석을 이용하여 간이 전동기를 제작할 수가 있는데요, 형태는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이 되겠죠.  여기서, 전지를 연결하는 부분은 구리 등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도체를 사용하면 되고요, 중요한 것은 에나멜선의 한쪽 끝은 피복을 반만 벗겨내고 .. 2024. 6. 13.
전류계와 전압계의 사용 방법 전류(I)의 세기와 전압(V)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가 전류계와 전압계인데요, 전기 회로에서는 아래와 같은 기호를 사용합니다. 이 전류계와 전압계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중학교 2학년 수준에 맞게 작성되었다는 것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참고로 아래의 저항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대한 글을 먼저 읽어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3.12.11 - [과학] - 저항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 (Series and Parallel) 저항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 (Series and Parallel)전압, 전류, 저항의 관계 저항이 일정하다면 전기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전압이 클수록 크게 됩니다. 즉 일정한 저항 아래에서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합니다.. 2024. 6. 6.
이공계 특성화 대학 수시 선발 방법 (카이스트 및 기타) 대학 입학 전형에서 모집 유형에 따라 수시 전형의 경우 6회, 정시 전형의 경우에 3회의 지원 제한이 있는데요, 이러한 지원 회수 제한에 적용받지 않고 다른 대학에 지원하였거나 합격 내지 등록한 경우에도 지원이 가능한 대학이 바로 이공계 특성화 대학입니다. 따라서 과학기술과 관련된 이공계를 희망하는 학생 중에 이공계 특성화 대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면 수시 모집 전형 방법을 미리 알아두면 좋겠죠.  2025학년도 이공계 특성화 대학 수시 전형 신입생 선발 방법아래 이공계 특성화 대학들의 수시 전형에 대해서 전형별로 선발 인원과 전형 방법에 대해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이스트 (KAIST,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기원)카이스트는 Early Admission과 Regular Admission으로 .. 2024. 5. 29.
2025학년도 수시 수능최저학력 기준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서울시립대) 정시가 아니더라도 수능이 중요한 이유는 수시에서 수능최저학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서인데요, 대부분의 학생들이 가고 싶어 하는 대학이라면 더더욱 그러합니다. 2024년 실시될 2025학년도 수능 성적으로 수시에서 최저 학력 적용이 신설된 11개 대학 중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이 4개 대학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를 해봅니다. 다만, 아래 내용은 올해 연초 발표된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므로 각 대학의 입학처에서 세부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고려대학교, 논술, 논술전형 경영 : 국, 수, 영, 탐(1) 중 4개 합이 5 이내인문 : 국, 수, 영, 탐(1) 중 4개 합이 8 이내자연 : 국, 수, 영, 과(1) 중 4개 합이 8 이내 고려대학교가 논.. 2024. 5. 28.
PDF 파일을 한글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 텍스트 위주로 된 PDF 파일을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한글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는데, 대부분 알PDF나 ezPDF 등 별도 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별도 프로그램 설치 없이 한글만 설치되어 있어도 간단하게 이 작업을 할 수가 있는데요, 바로 한글에 이 기능이 기본적으로 탑재가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한글 2020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PDF를 한글로 변환하기 1. 우선 한글을 열고 파일을 눌러보면 PDF를 오피스 문서로 변환하기라는 메뉴가 보이는데, 여기를 클릭합니다.  2. 문서 열기창과 동일한 종류의 탐색기 창이 뜨는데, 여기서 한글로 변환하고 싶은 PDF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3. 아래와 같이 변환 시에 약간의 시간이 소요되며, 일부 속성이 변경될.. 2024.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