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M 황산구리 수용액 만드는 방법
0.1M 황산 구리(Ⅱ) 수용액 만들기 준비물 : 황산구리(Ⅱ) 오수화물, 저울, 비커, 증류수, 부피 플라스크, 스포이트 1. 황산구리 오수화물의 화학식량 구하기 황산 구리 오수화물의 분자식은 CuSO4-5H2O이므로, 각 원소의 원자량으로 계산된 화학식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부분은 실험을 하든, 문제를 풀든 사전에 주어지고, 주어지는 값에 맞게 계산을 하면 됩니다. 원자량 : Cu : 63.5, S : 32, O : 16, H : 1 황산 구리 오수화물의 화학식량 : 63.546 + 32 + (16 x 4) + 5 x (1 x 2 + 16) = 249.5 2. 황산구리 0.1mol 계량 황산 구리 오수화물 24.95g을 저울에 계량한 다음, 약간의 증류수를 부어 모두 녹입니다. 1몰의 질량은 화..
2023. 10. 10.
등장액, 저장액, 고장액의 이해
고등 통합과학 과정 중 생명시스템 단원에 보면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삼투압이 나오는데, 이때 저장액, 등장액, 고장액의 개념이 등장합니다. 단순하게 세포의 안과 비교해서 용액의 농도가 같은지, 낮은지, 높은지에 대해서만 언급이 되어 있는데요,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는 범위를 넓히기 위해 조금 자세히 정리해 봅니다. 삼투현상이란 (Osmosis) 우선 저장액, 등장액, 고장액의 기초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삼투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삼투 현상은 서로 농도가 다른 두 용액이 농도의 균등성을 나타내려는 경향인데, 아래 그림과 같이 반투과성 막(semipermeable membrane)으로 막아 놓으면, 용매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반..
2023.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