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161

화성암의 분류와 결정 크기 확인 실험 암석은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의 세 종류로 분류가 되는데, 분류 기준은 암석의 생성 과정이 됩니다. 여기서, 화성암은 생성 과정을 살펴보면 마그마가 식어서 굳어지는 것이고, 생성 장소에 따라 화산암과 심성암으로 구분이 되는데, 여기서 화성암이 생성될 때 결정 크기를 확인하는 실험에 대해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아래 링크의 마그마와 용암의 차이점에 대해 미리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4.01.23 - [과학] - 용암과 마그마의 차이 용암과 마그마의 차이 지구과학을 보다 보면 용암과 마그마가 자주 등장을 하는데 정확한 구분이 나와 있지 않아서 여기에 대해서 정리를 해봅니다. 용암과 마그마의 구분 우선 용암은 영어로 Lava라고 하고, 마그마는 jcspirit.tistory.com 마.. 2024. 3. 21.
방해석 염산 반응으로 기포 발생 원리 광물을 구분할 수 있는 특성으로 광물에 묽은 염산을 떨어뜨려 기체 발생으로 인한 거품이 생기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가 있는데, 이를 염산 반응이라고 하고 구분이 가능한 광물로 방해석이 주로 등장을 합니다. 이유는 방해석(Calcite)이 대표적인 탄산염 광물인데 성분이 탄산칼슘(CaCO3)이고 산과 만나면 이산화탄소를 생성시키기 때문입니다. 아래 링크의 탄산칼슘과 산의 반응으로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내용을 참조하면 왜 염산 반응으로 거품이 생기는지 쉽게 이해를 할 수가 있습니다. 아래 링크에 반응식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조하시면 됩니다. 2023.11.17 - [과학] - 산과 탄산칼슘 반응으로 이산화탄소 생성 반응식 산과 탄산칼슘 반응으로 이산화탄소 생성 반응식 탄산칼슘(CaCO3).. 2024. 3. 21.
조흔색의 개념과 광물의 구별 지구계의 구성 요소 중 지권은 층상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지각, 맨틀, 외핵, 내핵의 4개 층으로 구분이 됩니다. 여기서 지각은 다양한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고, 암석은 또 여러 가지 광물로 이루어져 있죠. 여기서 광물을 구별할 수 있는 특성으로 색이나 조흔색, 굳기와 염산반응, 자성 등이 있는데요, 조흔색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광물의 특성인 조흔색 조흔색(條痕色)은 광물을 조흔판에 긁었을 때 나타나는 광물 가루의 색을 말합니다. 줄무늬로 나타나기 때문에 영어로 Streak이라고 표현하는데, 풍화되지 않은 광물의 표면을 조흔판에 긁으면 되고 여기서 조흔판은 streak plate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조흔판은 유약을 바르지 않은 초벌구이 도자기 타일을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초벌된 도자기 그릇.. 2024. 3. 21.
얼음의 밀도가 물보다 낮은 이유와 물의 밀도가 4℃에서 최대인 이유 물질의 상태변화에서 기체가 액체가 되는 액화(liquefaction), 그리고 액체가 고체가 되는 응고(solidification) 과정을 거치게 되면 물질의 밀도는 줄어들게 됩니다. 분자 간의 거리에 따른 인력이 커지게 되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액체에 비해 고체의 분자 결합이 더 가까워서 부피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이 글을 보기 전에 밀도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먼저 읽어보시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023.12.19 - [과학] - 밀도와 비중의 개념 밀도와 비중의 개념흔히 혼동하는 물리량의 개념 중에 밀도와 비중이 있는데요, 사실 이러한 기본 물성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여러 물리량을 볼 때 이해의 깊이가 달라지고 폭이 넓어지는 것이죠. 단순하게jcspirit.tistory.co.. 2024. 3. 20.
메타 에타 프로파 (탄화수소 명명법) 탄화수소(Hydrocarbon)이라는 것은 탄소(C)와 수소(H)만으로 구성된 유기화합물(Organic compound)을 말하는 것인데, 탄소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있습니다만, 중고등학생이 간단한 것만 알아도 교과 이해에 큰 도움이 되기에 명명법(Nomenclature) 관련 내용 중 탄소의 개수에 따른 그리스어 접두어에 대한 것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우선, 알케인(Alkane, 알칸)은 탄소 원자 사이의 결합이 모두 단일 결합(single bond)이면서 포화(Saturated)된 형태를 말하는 것으로 교과서에도 자주 등장하는 Methane(CH4, 메테인, 메탄), Ethane(C2H6, 에테인, 에탄), Propane(C3H8, 프로페인, 프로판) 등을 말합니다. 여기서 알케인(알칸)을.. 2024. 3. 18.
실험 오차 계산 (절대 오차, 상대 오차, 백분율 오차, Percent error) 실험을 통해 얻은 실험값(measured)과 계산을 통해 얻은 근삿값(approximate) 등은 익히 알려져 있는 값이나 문헌에 나와 있는 참값(exact value, true value)과 차이가 나기 마련인데, 이는 유효숫자 처리, 반올림 등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고, 실험 중 측정 오차에 의해서도 발생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실험값 또는 근삿값과 참값과의 차이가 참값에 대해 어느 정도의 비율인지 백분율 비율로 나타낸 것을 백분율 오차라고 합니다. 쉽게 이야기를 하면 아래와 같이 수식으로 표현할 수가 있겠죠. 오차 = ㅣ참값 - 측정값(근삿값)ㅣ 여기서 오차는 절대 오차(Absolute error)라고도 하고 절댓값을 취해줍니다. 따라서 측정값(근삿값)에서 참값을 빼주어도 됩니다. 그리고 상.. 2024. 3. 18.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속도의 한계 특수 상대성 이론에 대한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 특수 상대성 이론의 두 가지 가설, 즉 상대성 원리와 광속 불변 원리에 대한 내용을 아래와 같이 작성하였었는데요, 덧붙여 우리가 낼 수 있는 속력의 한계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2024.03.12 - [과학] - 특수 상대성 이론의 두 가지 가정에 대해 특수 상대성 이론의 두 가지 가정에 대해 물리학을 이야기하려면 빼놓을 수가 없는 것이 특수 상대성 이론이고, 고등학교 교과에서도 다루고 있는 만큼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인슈타인 가정이라고도 jcspirit.tistory.com 빛의 속도는 한계 속도 달리는 차에서 전구를 켜서 빛을 비추었다고 생각을 해봅시다. 광속 불변 원리에 의해 달리고 있는 자동차에서 관찰할 때.. 2024. 3. 13.
특수 상대성 이론의 두 가지 가정에 대해 물리학을 이야기하려면 빼놓을 수가 없는 것이 특수 상대성 이론이고, 고등학교 교과에서도 다루고 있는 만큼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인슈타인 가정이라고도 불리는 두 가지 가설에 대해 우선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우선 특수 상대성 이론의 두 가지 기본 가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아래 링크의 마이컬슨 몰리 실험을 통해 에테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므로 빛은 매질이 없이도 전달이 될 수 있는 파동이라는 것으로 아인슈타인이 해석하였다는 것부터 알면 아래 글과 앞으로 특수 상대성 이론에 대한 글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2023.12.12 - [과학] - 마이켈슨 몰리 실험 (에테르 존재 관련) 마이켈슨 몰리 실험 (에테르 존재 관련) 에테르 (.. 2024. 3. 12.
3역 6계 분류 체계 (5계 분류 체계와 비교) 저처럼 예전에 학교를 다녔던 분들은 종속과목강문계라는 생물 분류 체계가 기억이 나실 겁니다. 여기서 가장 큰 분류 체계가 계(kingdom)가 되는데, 요즘은 생소하겠지만 역(domain)이라는 더 큰 분류체계가 있습니다. 3역 6계 분류 체계 (Biological taxonomy)3역 6계 분류 체계란 말 그대로 6계로 나뉘는 계보다 더 상위의 분류 체계인 역을 추가하여 3역으로 분류한 것입니다. 이러한 변화는 분자생물학의 발달이 뒷받침되어 있는데요, 단백질에서 아미노산이 배열되는 순서에 따른 유사성, 유전 정보에 따른 구분과 미세 구조 등을 바탕으로 미국의 과학자인 우즈(Woese)가 제안한 것입니다. 현재는 이 방법으로 생물 분류 체계가 거의 정착되었다고 봐도 됩니다. 일부 세균의 경우에 원핵세포임.. 2024. 2. 28.
흡착판의 원리 설명 (압착고무, 흡착고무) 화장실 등의 타일에 물건을 거는 고리나 스마트폰 거치대를 차의 앞면에 붙일 때 흡착판을 많이들 사용하죠. 이 흡착판은 중학교 1학년 과정에 나오는 기체의 성질과 연관되어 설명할 수 있는데요, 흡착판의 원리 설며에 대해 중학교 1학년의 학습 측면의 내용을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흡착판의 원리 흡착판은 기본적으로 벽면이나 바닥, 유리창 등 평평한 곳에 눌러서 붙였을 때 별도 점착이나 접착 성분이 없이 부착이 되는 것인데요, 아래와 같이 흡착판을 누르게 되면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게 됩니다. 누르는 방식이 아니더라도 내부의 공기를 빼는 것은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되고, 가스켓 등으로 표면에 빈틈이 없도록 하여 공기가 빠져나간 다음에 밀폐가 됩니다. 자, 그러면 흡착판 내부에 공기를 구성하고 있는 기체 입자의.. 2024. 2. 27.
라면 개수에 따라 넣는 물의 양이 줄어드는 이유 (기체 입자의 증발) 아래의 링크를 보면 라면을 여러 개 끓일 때 적절한 면의 개수 당 물의 양이 한 개를 끓일 때보다 줄어듭니다. 라면을 1개 끓일 때 550mL의 물을 넣는다면 두 개일 경우에 880mL이므로 개당 440mL이 되고, 세 개의 경우에 1400mL이므로 467mL 정도 되죠. https://interstory.tistory.com/114 라면 여러 개 끓일 때 물의 양 라면을 여러 개 끓일 때 물의 양을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판매량과 인기가 가장 많고 기본적인 맛인 신라면과 진라면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하자면, 라면 하나를 끓일 때 550ml의 물을 넣는 것으 interstory.tistory.com 기체 입자의 운동인 증발 (Evaporation) 이건 기체 입자의 운동과 관련이 있는 것인데요, 기체 입자.. 2024. 2. 26.
ppm 농도 단위 환산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ppm 용액의 농도 단위는 다양하게 있지만, 그중에 ppm은 parts per million을 뜻하는 농도 단위로 우리말로 옮기면 백만분율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1ppm이라는 것은 백만분의 1이라는 뜻이 되는데요, 용액의 경우에 용액과 용질의 비를 나타냅니다. 참고로, ppb 단위는 parts per billion으로 십억분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백분율과 백만분율, 그리고 십억분율이 어떤 관계인가 보면 아래와 같게 되겠죠. 1 ppm = 0.0001 % 10000 ppm = 1 % ppm을 %로 변환할 때 1만으로 나눠주면 됩니다. 반대로 %를 ppm으로 변환할 때는 1만을 곱해주면 되겠죠. 1 ppb = 0.0000001 % 10000000 ppb = 1 % ppb를 %로 변환.. 2024.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