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추종을 모으다가 몇 년 전부터 PLUS 고배당주를 (당시에는 ARIRANG 고배당주) 지속 매수하였는데, 현재 가격이 상당히 높아서 배당 매력이 많이 떨어진 상태입니다. 그래서 여기서 나오는 배당과 신규로 입금하는 금액을 이용해서 어떤 종목을 추가로 매수할지 좀 알아보다가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를 좀 매수했고, 여기에 추가로 주력으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를 매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상장일은 2024년 3월 5일인데, 그 이후 현재까지 주가 흐름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참고로 글을 작성하고 있는 2025년 7월 4일 현재 가격은 4,725원입니다.
최대 5,000원선 정도였고, 최저 4,200원선이었는데 상장 이후에 위아래로 10% 안쪽으로 움직였기 때문에 꽤나 안정적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여기서 종목 이름이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에서 구성 종목이 어떤 것인지 유추가 가능하죠. 아래와 같은 종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맥쿼리인프라: 24% 이상
- SK리츠: 약 12–13%
- ESR켄달스퀘어리츠: 약 10–11%
- 신한알파리츠, 제이알글로벌, 롯데리츠, 한화리츠 등 포함
그러면 이제 제가 왜 이걸 매수하기 시작했는지가 중요하겠죠. 매수 중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PLUS 고배당주의 연배당률이 많이 낮아져서 추가 매수는 그다지 당기지 않는 상황. 현재 월배당으로 주당 73원 배당이 예정되어 있는데 주가가 19,000원 이상으로 올라간 상태라서 연 배당률이 5% 이하입니다. 배당 재투자는 고려해 볼 수 있어도 신규 입금 금액으로 매수하기에는 크게 매력적이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다른 배당주들도 마찬가지죠. 배당 ETF를 보면 구성 종목들의 가격이 금융지주나 지주사, 그리고 전통적인 고배당주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다들 가격이 단기 고점인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개인적인 판단이죠. 그리고, 참고로 저는 커버드콜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2.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 역시 월배당 ETF인데, 배당 재투자를 감안할 때 아주 준수한 연간 배당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맥쿼리인프라는 배당주로 워낙 유명하기도 하고, 여기에 리츠주들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현재 기준으로 연간 배당률을 약 9% 부근으로 기대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상장 이후에 월배당 금액이 증가 추세이긴 합니다. (월배당 금액 주당 35원에서 40원 기대)
3. 금리 인하기에 리츠주들은 빛을 발할 수가 있습니다. 주가 자체가 크게 움직이는 것을 기대하는 종목은 아니지만, 전통적으로 금리가 낮아지면 리츠 운용사들의 이자 부담이 줄어들기 때문에 수익이 개선됩니다.
요약하면, 현재 PLUS 고배당주를 위시한 배당주들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배당 매력이 약간 떨어진 시점, 그리고 대략 8% 이상, 9-10%까지 연배당률을 적용하여 월배당을 받아 재투자가 가능하다는 점, 마지막으로 금리 인하기에 리츠주들의 수익성 개선이 제가 연금저축계좌에 신규로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를 매수하고 있는 이유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그런데,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이 비슷한 생각인 건지 작년부터 올해까지 개인들의 누적 순매수 역시 많은 종목이기도 합니다.
사실 상장 시점에 매수하여 꾸준하게 배당까지 그대로 재투자를 했어도 상장 이후 주식 가격이 거의 10% 정도 내린 가격이기 때문에 현재 보유자들의 수익률은 크지 않을 것이나 저는 앞으로 최소 3-5년을 바라보고 매집을 해볼 예정입니다.
금리 인상기가 다가오면 그 때는 비중 축소를 고려해 봐야겠죠. 그때까지는 쭉 가져갈 생각이고, PLUS 고배당주는 그대로 유지할 계획입니다.
참고로 저의 PLUS 고배당주 보유 수량의 평단이 아주 낮은 편입니다. 평균 매수 단가가 13,000원 이하라서, 현재 저의 평단에 현재의 월배당금을 기준으로 연간 배당률로 환산하면 6.7 - 7.0% 사이가 나옵니다. 평단이 낮아 평가 차익도 꽤 큰 편이고, 해피한 상황이긴 하죠. 금액이 더 컸더라면 좋았겠지만.. 아무튼 계속 보유하면서 월배당으로 입금되는 금액은 전액 KODEX 한국부동산리츠인프라를 매수해 보려고 합니다. 신규 입금되는 금액도 많은 비중은 이 종목에 넣으면서 월배당금으로 재투자를 해보겠습니다.
'소비와 투자 > 연금저축계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리랑 고배당주 ETF 월분배금으로 변경 및 투자 계획 (0) | 2024.04.26 |
---|---|
연말정산 준비_증권사 연금저축계좌와 IRP계좌에 납입 (1) | 2022.12.19 |
연금계좌 세액공제 정리 (2022년 세제개편안) (1) | 2022.08.03 |
나스닥 2배 레버리지 국내상장 ETF 출시 (KODEX 미국나스닥100레버리지(합성H)) (0) | 2021.12.08 |
연금저축계좌 KODEX Fn Top10동일가중 ETF (vs Tiger Top 10) (0) | 2021.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