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사 이후의 삶555

알칼리 금속과 산소 및 물의 반응 알칼리 금속 (Alkali Metal) 알칼리 금속은 주기율표의 1족에 해당하는 금속 원소를 말하는 것으로, 실온에서 은백색 광택을 띠는 고체 상태로 존재합니다. 다른 금속들에 비해 대체로 밀도가 작기 때문에 쉽게 잘라질 정도로 무른 특성이 있고요,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산소와 물과의 접촉을 막아서 보관을 하여야 합니다. 위에 언급하였다시피 알칼리 금속은 1족 원소이므로 원자가 전자가 1개입니다. 그러므로, 비활성 기체와 같이 안정된 전자 배치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자를 1개 잃어버리려는 경향이 생기죠. 그리고, 이온화 에너지가 낮으므로 전자를 잃고 다른 원소와 화학 결합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 특성으로 인해서 산소 및 물과 반응을 하게 되는데요, 참고로 원자 번호가 클수록 반응성이 큽니다. (알칼리 금속.. 2023. 11. 20.
비가역 반응의 예 4가지 가역 반응과 비가역 반응 (Reversible reaction and Irreversible reaction) 정반응(forward reaction)은 반응물이 생성물로 되는 반응, 역반응(reverse reaction)은 반대로 생성물이 반응물로 되돌아오는 반응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화학반응식에서 정반응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되고, 역반응은 왼쪽으로 진행되죠. 여기서 가역 반응(reversible reaction)과 비가역 반응의 개념까지 알아야 하는데요, 가역반응은 정반응과 역반응이 모두 일어날 수 있는 반응을 말하고, 비가역 반응이란 정반응만 일어나거나 역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서 정반응이 상대적으로 훨씬 우세한 반응을 말합니다. 비가역 반응의 예 1. 연료의 연소 반응 아래의 메테인(CH.. 2023. 11. 20.
산과 탄산칼슘 반응으로 이산화탄소 생성 반응식 탄산칼슘(CaCO3) 산의 특징 중 하나로, 산이 달걀 껍데기와 반응하면 이산화탄소가 생성이 됩니다. 이는 산이 달걀 껍데기의 주성분인 탄산칼슘(CaCO3)과 반응을 하는 것인데, 달걀 껍데기 외에도 석회석이나 대리석, 조개껍데기 등과 만나서 반응을 한다면 이는 모두 탄산칼슘으로 간주하여 생각하면 됩니다. 참고로, 주요하게 다루어지는 산의 특징 중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반응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3.11.16 - [과학] - 산이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반응식 산이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반응식 금속의 이온화 경향 산의 공통적인 성질을 산성이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특징은 수소 이온(H+) 때문에 나타나게 되죠. 그리고, 이러한 산의 성질 중에 금속과 .. 2023. 11. 17.
당근 광고 후기 당근 광고 실행 학원을 창업하고 운영을 시작한 지 6개월 여가 된 현시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커리큘럼이나 시스템이 경쟁력이 있고 다른 학원과 차별화된 부분 역시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한 가지 아쉬운 부분은 학원이 소재한 지역 인근에서 오는 학생은 그다지 없고 대부분 조금 거리가 있는 곳에서 원생들이 찾아와 상담을 하고 등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아무래도 학군지가 아니어서 그런 것이 아닌가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만, 멀리서 오는 원생들은 나름 학부모님들 사이에 입소문과 심화 과정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지역 내 유일한 학원이라 그런 것이라 생각이 들고 가깝지도 않은 학원에 믿고 보내주시는 학부모님들께는 감사한 마음입니다. 그리고, 원래는 예전에 아내가 교습소를 운영할 때와 같이 홍보를 .. 2023. 11. 17.
이온 수용액에 전류가 흐르는 이유 전류의 이동은 전하의 이동 전하라고 하는 것은 물질에 존재하는 +와 -의 성질을 띠는 입자들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다시피 원자핵은 + 전하를, 전자는 - 전하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전하의 이동으로 인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요, - 전하를 가지는 전자가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고, 전자는 -극에서 +극의 방향으로 흐릅니다. 참고로 전류의 방향은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로 +극에서 -극으로 흐르는 것으로 정의가 되어 있습니다. 전해질과 전류의 흐름 수용액 상태에서 이온화가 되어서 전류가 흐르는 물질을 전해질(electrolyte)라고 합니다. 이온 결합성 물질, 산이나 염기 등은 수용액 상태에서 이온화가 되고 전류가 흐르죠. 물 분자는 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 전하를 띠는 .. 2023. 11. 17.
산이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반응식 금속의 이온화 경향 산의 공통적인 성질을 산성이라고 하는데요, 이러한 특징은 수소 이온(H+) 때문에 나타나게 되죠. 그리고, 이러한 산의 성질 중에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는 성질이 있는데요, 이는 대부분의 금속이 수소보다 이온화 경향이 크기 때문입니다. 우선 아래 이온화 경향에 대한 글을 참고하면 되겠고, 이온화 경향 순서는 암기하여야 합니다. 2023.11.16 - [과학] - 금속의 이온화 경향과 산화환원반응 금속의 이온화 경향과 산화환원반응 이온화 경향 (Ionization tendency) 일반적으로 금속은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 경향성이 원소들 간에 차이가 있고, 이를 통해 수용액 속에서 어떤 물질과 이온 간에 산 jcspirit.tistory.c.. 2023. 11. 16.
구리 산화반응과 산화구리의 환원반응 구리의 산화 구리판을 알코올램프나 양초로 가열을 할 때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는 겉불꽃 속에 넣으면, 붉은색의 구리판이 검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구리가 산화구리로 산화되기 때문인데요, 산소가 충분하다는 것의 의미는 완전연소가 일어난다는 뜻이 되며, 반응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2Cu + O2 → 2CuO 산화된 물질 : 구리(Cu) 환원된 물질 : 산소(O2) 붉은색의 구리판이 검은색으로 변화 산화구리의 환원 양초나 알코올램프의 속불꽃 속에 산화구리(CuO)를 넣으면 환원 반응이 일어납니다. 왜냐하면, 속불꽃 속에는 산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며, 이에 따라 일산화탄소(CO)나 연소되지 않은 탄소 알갱이(C)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와 같은 두 가지 반응식으로 나타내게 됩니다. CuO.. 2023. 11. 16.
금속의 이온화 경향과 산화환원반응 이온화 경향 (Ionization tendency) 일반적으로 금속은 전자를 잃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는데, 이 경향성이 원소들 간에 차이가 있고, 이를 통해 수용액 속에서 어떤 물질과 이온 간에 산화환원 반응을 이해하는데 열쇠가 됩니다. 이것을 이온화 경향이라고 하는데, 이론적으로 설명되지 않으나 아래를 암기해 두어야 합니다. K > Ca > Na > Mg > Al > Zn > Fe > Ni > Sn > Pb > H > Cu > Hg > Ag > Pt > Au 외우는 방법 : 칼카나마 / 알아철니 / 주납수구 / 수은백금 위와 같이 각 원소의 초성을 4음절씩 끊어서 외우면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참고로 수소는 금속이 아니나, 산성 용액 등에서 많이 발생하고 기준이 되는 원소이기 때문에 포.. 2023. 11. 16.
암모니아가 염기인 이유 산과 염기 아레니우스(Arrhenius)의 산과 염기에 대한 정의에 따라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산과 염기를 구분합니다. 산(acid) : 물에 녹아서 수소 이온(H+)을 내놓는 물질 염기(base) : 물에 녹아서 수산화이온(OH-)을 내놓는 물질 따라서, 위와 같은 구분에 의해 염산(HCl), 황산(H2SO4), 아세트산(CH3COOH), 질산(HNO3) 등을 산으로 분류하고,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수산화칼슘(Ca(OH)2), 수산화마그네슘(Mg(OH)2) 등은 염기로 분류하게 됩니다. 그리고, 대표적인 산과 염기들은 분자식을 잘 보면 쉽게 구분 역시 가능합니다. 암모니아(NH3)는 염기 교과 과정에 보면 염기 중의 하나로 등장하는 암모니아는 분자식에 수산화이온, 즉 OH- .. 2023. 11. 15.
김치의 신맛을 줄이기 위해 소다를 넣는 반응 김치의 신맛 이유 신맛이 나는 것은 산성 물질의 특성 중의 하나인데요, 신김치 역시 마찬가지로 산성 물질이 있기 때문에 신맛이 납니다. 신 김치의 신맛은 바로 젖산(lactic acid) 때문인데요, 소다를 넣어서 신맛을 없앤다고 하죠. 그러면 중화반응이 일어나야 하므로 소다는 염기성 물질이겠군요. 김치의 신맛을 소다로 중화하는 반응 소다는 일반적으로 나트륨의 탄산염인 탄산나트륨(Na2CO3)을 의미하는데, 우리가 흔히 소다라고 하는 것들은 식용소다 또는 베이킹소다를 일컫는 것입니다. 바로 탄산수소나트륨(NaHCO3, sodium hydrogen carbonate)입니다. 경우에 따라 레몬 쥬스의 신맛을 줄이기 위해 베이킹 소다를 섞어 주기도 하는데요, 이 역시 레몬의 산도를 낮추기 위해서이죠. 그러면 .. 2023. 11. 15.
산성화된 토양에 석회가루를 뿌려 중화시키는 반응식 석회가루, 석회, 석회수 석회는 영어로 Lime이라고 하는데요, 칼슘(Ca)을 포함하고 있는 무기물을 일컫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석회가루(lime powder)라고 부르는 것은 산화칼슘(CaO, Quicklime)을 의미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다른 말로 이를 생석회라고도 부릅니다. 그리고, 좀 더 넓게 석회수(Lime water, slaked lime), 즉 수산화칼슘(Ca(OH)2)이나 탄산칼슘(CaCO3, limestone) 역시 석회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산성화된 토양 중화 반응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중화반응의 사례로 산성화 된 토양을 중화시키기 위해 염기성 물질인 석회가루를 뿌린다고 하죠. 석회가루(CaO, 산화칼슘)를 토양에 뿌리면 토양이 머금고 있는 수분에 의해서 수산화칼슘(.. 2023. 11. 15.
생선에 레몬즙을 뿌려서 비린내를 제거하는 반응 중화반응 (Neturalization reaction) 중화반응은 산(acid)과 염기(base)가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하고 열을 방출하는 반응입니다. 일반적으로 간략하게 아래와 같이 표현이 됩니다. 산 + 염기 → 물 + 염 + 발열 알짜이온 반응식 : H^(+) + OH^(-) → H2O + 발열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중화반응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만, 생선에 레몬즙을 뿌려서 비린내를 제거하는 반응 역시 중화반응입니다. 이 반응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생선에 레몬즙을 뿌리는 이유 생선 비린내의 원인 물질은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입니다. 화학 구조식은 아래와 같이 생겼는데요, 비공유 전자쌍을 주는 루이스 염기입니다. 자, 그러면 염기성 물질인 트리메틸아민을 제거하기.. 2023. 1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