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 결정기준은 예전에 포스팅하였던 글에서 썼던 바와 같이 적용되는 FTA 협정에 따라서, 그리고, 어떤 물품인가에 따라서 규정이 다릅니다. 따라서, 원산지증명서를 발급받거나 원산지를 확인해야 될 필요가 있을 때, FTA 협정 내용과 HS code에 따른 적용 내용을 확인하여 원산지 결정기준을 파악해야 됩니다.
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 확인 방법
우선 어떤 물품인가 하는 것을 확인해야 되는데, 혹시라도 CAS no.는 알고 있으나 HS code를 모른다면, HS code 속견표에서 확인을 해보되, 아래 방법으로 검증하는 것도 추천합니다. CAS no.로 HS code를 찾을 수 있습니다.
2023.01.16 - [Career Story/영업사원 Diary] - CAS no로 HS code 찾는 방법
그런 다음, FTA 협정 원문을 확인한다는 것은 너무 번거로운 일이겠죠. YES FTA 웹사이트를 활용하면 됩니다.
1. 아래 링크 관세청 포털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YES FTA)
https://www.customs.go.kr/ftaportalkor/main.do
2. 상단 메뉴에 FTA 자료실에서 협정별 원산지결정기준 선택
3. HS code 또는 한글, 영문 품목명으로 검색
예를 들어서, 1,4-BDO의 HS code가 290539로 시작하므로 한번 넣어서 검색을 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 FTA 협정별로 해당 품목의 원산지 결정기준이 모두 나열이 되죠.
늘 그렇듯이 숫자나 기호는 오류의 확률을 많이 줄여줍니다. 가급적이면 품목명으로 검색하지 말고, HS code를 확인하여서, HS code로 검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아래 내용들도 참고로 읽어보면 좋습니다.
'Career Story > 영업사원 Dia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S no로 HS code 찾는 방법 (0) | 2023.01.16 |
---|---|
수입 통계 자료 보는 방법 (판매 제품의 Market share 확인 방법) (1) | 2022.08.05 |
수입 시 DO Charge (D/O Charge) (0) | 2022.07.19 |
수입 시 프리타임(Free time), Demurrage와 Detention (0) | 2022.07.14 |
BAF와 CAF 비용 부담 (0) | 2022.06.02 |
댓글